8장은 외부 패키지, 라이브러리, 오픈 소스등으로 사용되는 외부코드에 관한 글이다. 경계살피고 익히기 외부에서 온 코드를 다루는 방법은 어렵다. 사용할 때 라이브러리가 예상대로 동작하는지, 라이브러리코드의 문제인지 나의 코드 문제인지 파악하기가 힘들다. 그렇기때문에 외부 코드 작성전 학습테스트를 진행하는것이 좋다. 통제된 테스트 환경에서 외부 코드를 테스트해 API를 제대로 이해했는지를 확인하는 것. 학습테스트에는 비용이 없다. 투자 대비 얻는 성과가 더 큼. 아직 존재하지 않는 코드를 사용하기 협업 과정중 다른팀이 아직 우리가 필요한 API를 완성하지 못했을때의 이야기 구현을 미루고 인터페이스를 정의 -> 우리가 작성하려는 코드의 의도가 분명해진다. 인터페이스 정의 후 다른팀의 API가 완성되었을때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