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rtualHost 란,
한대의 서버에서 두개 도메인을 운용하게 해주는 방법.
같은 IP로 접속 요청을보내도 Apache 설정상에서 도메인명(정확히는 ServerName)이 다르다면
해당 ServerName으로 접속을 연결해준다.
보통은 Linux환경에서 진행하지만 집에서 복습겸 맥북 로컬환경에서 진행해보겠다.
( 회사에서 진행했었던 RockyLinux 와 큰 차이가 없다.. 어차피 )
각설하고 간단하게 가상호스트를 설정해보자.
우선 apache 설정파일인 httpd.conf 에서
1. 직접 VitualHost를 등록하는방법과
2. VirtualHost 설정파일을 Include하는 방법이 있다.
난 간편하게 후루룩 하고싶어서 두번째 방법으로 진행하겠다.
httpd.conf에서 주석처리 되어있던 Include httpd-vhost.conf 를 해방시켜주자.
주석으로부터 석방시켜준 가상호스트 설정파일을 열어 가상호스트 설정을 진행해보자.
간단하고 빠르게 설정을 진행해보았다.
80번 포트로 오는 요청에서 ServerName으로 접속을 원한다면 DocumentRoot에 등록된 html 혹은 php 파일을 응답해준다.
기본 에러 로그와 커스텀 로그 역시 가상호스트별로 다르게 작성 할 수 있다.
DocumentRoot로 설정한 경로에 각각의 디렉토리를 만들어주고 Index.php 를 만들어주자
설정이 끝났으니 이제 아파치 서비스를 restart해주고
드디어 이제 우리가 설정한 가상호스트 서버이름으로 접속을 시도하면
접속이 안된다.
호스트 설정을 안해줬기때문
sudo vi /etc/hosts
호스트 설정파일로 이동해 나는 다음과 같이 설정해줬다.
가상호스트 설정파일에서 적어준 서버이름 혹은 Alias 를 적어주자
진짜 설정이 다 끝났으니 sudo apachectl restart를 해주면
주소명에 따라 서로 다른 웹사이트 방문이 가능해졌다.